분류 전체보기(52)
-
[중등2과학] 기체의 용해도
자. 이번 수업은 기체의 용해도에 대해 알아보자.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압력은 높을수록 용해도가 높아진다. 탄산음료를 맛있게 마시기 위해서는 뚜껑을 닫아서 냉장고에 보관해야 하는데 이것은 뚜껑을 닫아 압력을 높이고 냉장고에 넣어 온도를 낮추면 탄산음료에 이산화탄소 기체가 더 많이 녹아 톡 쏘는 청량감이 커지기 때문이다. 기체의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탄산음료를 시험관에 넣고 서로 다른 온도의 비커에 넣은 후 일부 시험관은 뚜껑을 닫아 압력을 높인다. 이 때 발생하는 기포수를 측정하면 기체의 용해도를 비교할 수 있는데 기포는 녹지 못하고 빠져나오는 기체를 의미하므로 발생하는 기포수가 많을수록 용해도는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포가 가장 많이 나오는 시험관은 온도는 높고 ..
2021.11.04 -
[중등2과학] 포화수용액과 석출량
자. 이번 수업은 포화 수용액과 석출량에 대해 알아보자. 포화 수용액은 물 100g에 용질이 용해도 만큼 녹아 있는 용액을 말한다. 예를 들어 질산칼륨의 용해도 곡선이 다음과 같을 때 70도씨에서 질산칼륨의 용해도가 140이므로, 포화수용액 정의에 따라 70도씨에서 만들 수 있는 질산칼륨 포화 수용액의 질량은 물 100g에 질산칼륨을 140g 녹인 240g이된다. 이것을 기준 포화 수용액이라고 하자. 만약 주어진 포화 수용액의 질량이 기준 포화 수용액의 절반인 120g이라면 물의 양도 기준 포화수용액의 절반인 50g이며 녹아 있는 질산칼륨의 양도 기준 포화수용액의 절반인 70g이 된다. 주어진 포화 수용액의 질량이 기준 포화 수용액의 두 배인 480g이라면 물의 양과 녹아 있는 질산칼륨의 양도 각각 두배..
2021.11.02 -
[중등2과학] 용해도와 석출량
자. 이번 수업은 용해도와 석출량에 대해 알아보자. 용해도는 어떤 물질이 용매, 즉 물 100g에 최대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g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물질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60이라면 물 100g에는 이 물질이 최대 60g이 녹을 수 있다는 것이고 물 50g에는 최대 30g이 녹을 수 있으며 물 200g에는 최대 120g이 녹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석출은 용질이 녹아 있는 용액을 냉각시킬 때 녹아 있던 용질이 고체 상태로 용액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때 석출되는 용질의 양은 처음 용액에 녹아 있던 용질의 양에서 냉각한 온도에서 최대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을 빼는 것으로 구할수 있다.예를 들어 질산나트륨의 용해도 곡선이 다음과 같고 70도씨 물 100g에 질산나트륨을 120g 녹..
2021.11.02 -
[중등3과학] 체세포 분열과 생식세포 분열 비교
자. 이번 수업은 체세포 분열과 감수분열을 비교하면서 두 분열에 대한 여러가지 내용을 정리해보자. 체세포 분열은 간기에 DNA가 복제되어 그 양이 두배로 늘어나고 2가닥의 염색 분체로 구성된 막대 모양의 염색체를 만든다. 이때 쌍을 이루는 두 염색체를 상동염색체라고 한다. 체세포 분열 중기, 세포 중앙에 일렬로 배열된 염색체는 염색 분체가 분리 되어 양극으로 이동한 후 2개 딸세포의 핵을 구성한다. 감수분열은 DNA 복제 후 상동 염색체가 접합하여 2가 염색체를 형성한다. 1분열에서는 상동염색체가 2분열에서는 염색 분체가 분리되어 최종적으로 4개의 딸세포를 만들어낸다. 1분열과 2분열 중 염색체의 수가 절반으로 감소하는 과정은 1분열이며 2분열에서는 염색체의 수가 변하지 않는다. 손가락을 이용하면 체세포..
2021.11.01 -
[중등3과학] 생식 세포 분열(감수분열)
자. 이번 수업은 감수 분열에 대해 알아보자. 감수 분열은 생식세포분열이라고도 하며 체세포 분열과 달리 두 번의 분열이 연속해서 일어난다. 감수 제 1분열은 간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로 구분되며 감수 제 2분열은 간기 없이 전기, 중기, 후기, 말기로 나눠진다. 세포 분열 준비기인 간기를 거쳐 염색체가 등장하고 2가 염색체를 형성하면서 1분열 전기가 시작된다. 2가 염색체는 상동 염색체 두개가 접합하여 생성된 것으로 감수 1분열 전기에서만 나타난다. 중기에는 2가 염색체가 중앙에 배치되고 방추사가 염색체에 부착된다. 2가 염색체를 구성하고 있는 상동 염색체가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하는 후기를 지나 말기에 핵막이 다시 등장하고 세포질 분열이 일어나면서 2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1분열이 끝..
2021.11.01 -
[중등3과학] 체세포 분열
자. 이번 수업은 체세포 분열에 대해 알아보자. 체세포 분열은 세포 분열을 준비하는 간기와 실제 분열이 일어나는 분열기로 나눌 수 있으며 분열이 일어날 때는 핵이 먼저 분열한 후 세포질 분열이 일어난다. 핵분열은 염색체의 모양과 행동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 말기로 구분된다. 아직 분열이 시작되지 않은 간기에는 핵막이 뚜렷하게 관찰된다. 유전 물질의 복제가 일어나 그 양이 2배로 증가하며 세포의 크기가 점점 커진다. 핵막이 사라지면서 염색체가 등장하면 전기가 시작된다. 염색체의 이동에 관여하는 실모양의 방추사도 등장한다. 염색체가 움직이다가 어느 순간 세포 중앙에 일렬로 배열하고 방추사가 염색체에 부착되는데 이 때를 중기 라고 한다. 중기는 염색체가 가장 잘 보이는 시기이다. 이후 방추사에 의해 염색..
2021.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