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사이언스 #대구수성구 #과학학원 #통합과학(2)
-
[통합과학] 주기율표
오늘은 우리가 과학 시간에 자주 보는‘주기율표’, 이걸 어떻게 읽는지그리고 어떤 기준으로 만들어졌는지처음부터 쫙 정리해볼게.먼저, 주기율표는 어떻게 발전해왔을까?처음엔 되베라이너라는 과학자가성질이 비슷한 원소 3개씩 묶으면가운데 원자량이 양쪽 평균쯤 되더라~ 하고세쌍 원소설을 제안했어. 그다음엔 뉴랜즈라는 과학자가**8번째마다 성질이 비슷해진다!**는 걸 발견하고옥타브설이라고 불렀지. (도레미파솔라시도~ 처럼) 그리고 나서 멘델레예프가원자량 순으로 정리한 주기율표를 만들었고미발견 원소까지 예측했어. 진짜 대단했지. 근데!원자량만으로 정리하다 보니까성질이 안 맞는 부분이 생겨서,그걸 모즐리라는 과학자가 정리했어.→ “원자번호 순서대로 정리해야 성질이 딱딱 맞는다!”이렇게 해서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주기율표..
2025.04.18 -
[통합과학] 수소와 헬륨 질량비 3 : 1 / 빅뱅 vs 정상 우주론
자, 이번 수업에서는수소와 헬륨의 질량비가 왜 3:1이 되는지,그리고 빅뱅 우주론과 정상 우주론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1. 양성자와 중성자의 비율 변화우주 초기에 쿼크들이 결합해서양성자와 중성자가 만들어졌어. 이때는 두 입자 간의 전환 반응이 자유롭게 일어났기 때문에양성자:중성자 비율은 거의 1:1이었지.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우주의 온도가 점점 낮아지고,에너지가 부족해지자,중성자 → 양성자로 바뀌는 반응만 일어나게 되었어. 즉, 양성자의 수는 점점 늘고, 중성자의 수는 줄어든 거지.그래서 헬륨 원자핵이 형성되기 직전에는,양성자 : 중성자 = 7 : 1이 되었어.2. 수소-헬륨 질량비 계산 과정그 다음, 중성자 2개 + 양성자 2개가 만나→ 헬륨 원자핵 1개를 만들어. 그러면 남은 양성자들은 별다른 ..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