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2] 7단원 : 수권과 해수의 순환(4)
-
[중등2과학] 해류와 조석현상
자. 이번 수업은 해류와 조석현상에 대해 알아보자. 해류는 일정한 방향으로 나타나는 해수의 흐름을 말하며 지속적으로 부는 바람에 의해 나타난다. 해류는 난류와 한류로 구분하는 데 난류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르는 비교적 따뜻한 해수를 말하고 한류는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흐르는 비교적 차가운 해수를 말한다. 난류는 염분이 높고 산소와 영양 염류는 적게 녹아있으며 한류는 염분은 낮지만 산소와 영양 염류가 많이 녹아 있다. 우리 나라 주변에 흐르는 해류 중 가장 규모가 큰 해류는 북태평양 서쪽 해역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이며 쿠로시오 해류는 우리 나라 주변에 흐르는 난류의 근원이다. 쿠로시오 해류의 일부가 동해쪽으로 흐르는 것을 동한 난류 황해쪽으로 흐르는 것은 황해난류라고 하며 북한 한류는 연해..
2021.11.19 -
[중등2과학]염류와 염분(염분비일정 법칙)
자. 이번 수업은 염류와 염분에 대해 알아보자. 염류는 해수에 녹아 있는 여러가지 물질을 말하며 짠맛을 내는 염화나트륨이 가장 많고 쓴맛을 내는 염화마그네슘이 두번째로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염분은 해수 1000g에 녹아 있는 염류의 질량을 g수로 나타낸 것을 말하며 단위는 실용염분단위인 psu나 퍼밀을 사용한다. 전 세계 해수의 평균 염분은 35psu인데 이것은 해수 1000g에 염류가 35g 녹아 있다는 말이고 물 965g에 염류 35g을 녹이는 것으로 같은 염분의 해수를 만들수 있다는 의미이다. 해수의 염분은 증발량과 강수량, 담수 유입량, 해빙과 결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은 지역에서는 염분이 높게 나타나고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적은 지역에서는 염분이 낮게 나나타며 육지..
2021.11.18 -
[중등2과학] 해수의 온도
자. 이번 수업은 해수의 온도에 대해 알아보자. 해수의 겉부분에 해당하는 표층의 온도는 태양 에너지에 영향으로 위도나 계절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 에너지가 적게 도달하므로 표층 수온은 낮아지고 같은 위도에서 수온은 비슷하게 나타난다. 또한 태양에너지가 많이 들어오는 여름철이 겨울철보다 표층수온이 높게 나타난다. 해수의 연직 수온 분포는 태양에너지와 바람의 영향을 받으며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를 기준으로 혼합층, 수온약층, 심해층으로 구분한다. 혼합층은 대부분의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수온이 높고 바람에 의한 혼합작용으로 수온이 일정한 층을 말하며 바람이 강하게 불수록 혼합층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수온 약층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수온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층을 말하며 대류가..
2021.11.18 -
[중등2과학] 수권과 수자원
자. 이번 수업은 수권과 수자원에 대해 알아보자. 수권은 지구상에 분포하는 모든 물을 말하며 해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담수 중에서는 빙하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지하수이며 호수와 하천수가 가장 적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해수는 바다에 있는 물을 말하며 짠맛이 나고 담수는 일반적으로 육지에 있는 물을 의미하며 짠맛은 나지 않는다. 담수는 빙하, 지하수, 호수와 하천수의 형태로 존재한다. 빙하는 고체상태의 물을 말하고 주로 고산지대나 극지역에 분포하며 지하수는 땅속에 있는 물을 의미하고 빗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만들어진다. 호수와 하천수는 지표에 흐르거나 고여있어 우리가 주로 이용하고 있는 물의 형태이다. 수자원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자원으로 활용하는 물을 말하며 주로 호수나 하천수를 이용하고 부족한 경..
2021.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