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2] 8단원 : 열과 우리 생활(4)
-
[중등2과학] 비열의 현상과 이용(해륙풍 원리)
자. 이번 수업은 비열에 의한 현상과 이용에 대해 알아보자.먼저 물은 다른 물질에 비해 비열이 매우 크기 때문에 온도가 잘 변하지 않으므로 비열에 의한 현상이나 이용에서 자주 등장한다.해안 지역에서 낮에는 해풍이 불고 밤에는 육풍이 부는 것 해안 지방이 내륙 지방보다 낮과 밤의 기온차이에 해당하는 일교차와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에 해당하는 연교차가 작게 나타나는 것 사람의 몸은 70%정도가 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온도가 급격히 변해도 체온은 잘 변하지 않는 것은 비열에 의한 현상의 대표적인 예시들이고보일러나 자동차의 냉각수, 찜질팩에 비열이 큰 물을 사용하고 비열이 큰 뚝배기는 천천히 뜨거워지고 천천히 식으므로 약한 열을 가해 천천히 조리하는 음식에 사용하고 비열이 작은 양은 냄비는 빨리 뜨거워지..
2021.11.26 -
[중등2과학] 열량, 비열, 온도변화
자. 이번 수업은 열량과 비열에 대해 알아보자. 열량은 온도가 다른 물체 사이에 이동하는 열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위는 칼로리, 킬로칼로리를 사용한다. 물체는 흡수한 열량이 클수록, 질량은 작을수록 온도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물의 질량과 가한 열량을 다르게 하여 온도 변화를 측정했을 때 같은 질량이지만 가해준 열량이 더 큰 (나)가 (가)보다 온도가 더 많이 변하며 같은 열량을 가했지만 질량이 작은 (나)가 (다)보다 온도가 더 많이 변한다. 비열은 어떤 물질 1kg을 1°C 높이는데 필요한 열량을 의미하며 단위는 kcal/kg·°C를 사용한다. 비열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물질의 비열이 작을수록 온도 변화는 크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A, B, C 물질의 비열이..
2021.11.24 -
[중등2과학] 열의 이동방법과 단열
자. 이번 수업은 열의 이동 방법과 단열에 대해 알아보자. 열은 전도나 대류, 복사를 통해 이동하는데 그 중 전도는, 주로 고체에서 이웃한 입자 사이의 충돌에 의해 열이 이동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금속의 한쪽 끝을 가열하면 금속 입자의 충돌에 의해 열이 이동하여 금속 전체가 뜨거워진다. 대류는 액체와 기체에서 입자가 직접 이동하면서 열이 이동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물을 비커에 넣고 아래쪽에서 가열하면 뜨거워진 물 입자는 위로 이동하고 위에 있던 차가운 물 입자는 내려오면서 물 전체가 뜨거워진다. 복사는 물질의 도움 없이 열이 직접 이동하는 방식을 말하며 태양열이 지구로 전달될 때 이용된다. 뜨거운 국에 숟가락을 담그면 손잡이 부분까지 뜨거워지는 것이나 추운날 바깥에 있는 금속의자는 나무..
2021.11.23 -
[중등2과학] 온도와 열평형
자. 이번 수업은 온도와 열평형에 대해 알아보자. 온도는 물체의 차갑고 뜨거운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을 말하며 일상 생활에서는 섭씨 온도를 과학에서는 절대 온도를 주로 사용한다. 섭씨 온도의 단위는 °C를 사용하며 1기압에서 물이 어는 온도를 0°C 물이 끓는 온도를 100°C로 정한 온도이다. 절대 온도의 단위는 K을 사용하고 -273°C를 0K으로 정한 온도이다. 절대 온도는 섭씨 온도에 273을 더하는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C는 273K이고 100°C는 373K이다. 모든 물질은 입자로 구성되어 있고 입자는 끊임없이 운동하고 있으며 온도는 이런 입자 운동의 활발한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따라서 온도가 높을수록 입자의 운동도 빨라진다. 예를 들어 차가운 물과 뜨거운 물 중 뜨..
2021.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