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3과학] 체세포 분열과 생식세포 분열 비교

2021. 11. 1. 16:25[중등3] 5단원 : 생식과 유전

반응형

자. 이번 수업은 체세포 분열과 감수분열을 비교하면서

 

두 분열에 대한 여러가지 내용을 정리해보자.

 

 

체세포 분열은 간기에 DNA가 복제되어 그 양이 두배로 늘어나고

 

2가닥의 염색 분체로 구성된 막대 모양의 염색체를 만든다.

 

이때 쌍을 이루는 두 염색체를 상동염색체라고 한다.

 

체세포 분열 중기, 세포 중앙에 일렬로 배열된 염색체는

 

염색 분체가 분리 되어 양극으로 이동한 후

 

2개 딸세포의 핵을 구성한다.

 

 

감수분열은 

 

DNA 복제 후

 

상동 염색체가 접합하여 2가 염색체를 형성한다.

 

1분열에서는 상동염색체가

 

2분열에서는 염색 분체가 분리되어

 

최종적으로 4개의 딸세포를 만들어낸다.

 

1분열과 2분열 중 염색체의 수가 절반으로 감소하는 과정은 1분열이며

 

2분열에서는 염색체의 수가 변하지 않는다.

 

손가락을 이용하면 체세포 분열과 감수분열의 과정을 쉽게 기억할 수 있다.

 

먼저 체세포 분열을 표현해보자.

 

손가락을 염색체라고 할 때

 

간기에 DNA의 양을 두배로 늘린 후

 

전기에 등장한 염색체는

 

중기에 세포 중앙에 일렬로 배열된 후

 

염색 분체가 분리되어

 

두개의  딸세포를 만든다.




감수 분열은

 

DNA의 양을 두배로 늘린 후

 

상동 염색체끼리 접합하여 2가 염색체를 형성한다.

 

1분열에서는 상동 염색체가 분리되고

 

2분열에서는 염색 분체가 분리되어

 

4개의 딸세포를 만든다.




정리하면

 

체세포 분열은 1회 분열을 통해 염색체의 수가 모세포와 같은 2개의 딸세포를 만들지만

 

감수분열은 연속된 2회 분열을 통해 모세포보다 염색체 수가 절반으로 줄어든 4개의 딸세포를 만든다.



생물은 체세포 분열을 통해 생장이나 재생에 필요한 체세포를 만들고

 

감수 분열을 통해 생식을 위한 생식세포를 형성한다.



체세포 분열은 동물의 경우 몸 전체에서 일어나지만

 

식물은 생장점, 형성층과 같은 특정 부위에서만 분열이 일어난다.



감수 분열은

 

동물의 경우 난소에서 난자가 만들어질 때나

 

정소에서 정자가 만들어질 때 일어나며

 

식물은 밑씨에서 난세포가 생성될 때

 

혹은 꽃밥에서 꽃가루를 만들어낼 때 일어난다.

 

 

 

https://youtu.be/PdFQoFRYhXg

 

탑사이언스 과학학원 www.topsa.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