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개정_통합과학](13)
-
[통합과학] 지구와 생명체 구성 원소 / 별의 에너지원
자, 오늘은지구와 생명체를 구성하는 원소들은 어디에서 왔는지,그리고 별은 어떻게 에너지를 만들어내는지그 비밀을 함께 알아보자!1. 우주 전체의 원소 구성먼저 우주 전체를 보면대부분은 아주 단순한 원소로 이루어져 있어.**수소(H)**와 헬륨(He)→ 이 두 가지가 전체 우주의 98% 이상을 차지해.이 두 원소는빅뱅 직후, 아주 초기에 만들어졌어.2. 그럼 지구는?그런데 지구는 조금 달라.지구를 구성하는 원소는철(Fe)산소(O)규소(Si) 같은 무거운 원소들이 많지.이런 원소들은 빅뱅 때는 만들어지지 않았어.3. 생명체는?우리 몸처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도 마찬가지야.산소(O)탄소(C)질소(N)수소(H)이런 원소들이 주를 이루는데,이 역시 별 안에서 만들어진 것들이야.4. 그럼 이 원소들은 어디서 만들어..
2025.04.08 -
[통합과학] 스펙트럼의 종류(연속/흡수/방출)
자, 오늘은 별의 빛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개념!스펙트럼에 대해 알아보자.1. 스펙트럼이란?먼저, **스펙트럼(Spectrum)**이란 뭘까? 간단히 말하면,빛을 분광기에 통과시켰을 때 나타나는 색의 띠를 말해.우리 눈에 보이는 빛도, 사실은 여러 색깔의 빛이 섞여 있는 거야.이걸 분해하면 무지개처럼 펼쳐지는 거지. 이런 스펙트럼은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어.2. 스펙트럼의 종류1) 연속 스펙트럼말 그대로 끊김 없이 이어지는 무지개 색 띠모든 파장의 빛이 고르게 포함되어 있어백열등이나 고온의 별에서 나오는 빛이 대표적이야2) 흡수 스펙트럼연속 스펙트럼에서 일부 파장의 빛이 흡수되어→ 그 부분에 검은 선이 생긴 형태야이건 어떤 상황에서 생기냐면,고온의 별빛이 저온의 기체를 지나갈 때!기체가 특정 파장의..
2025.04.07 -
[통합과학] 수소와 헬륨 질량비 3 : 1 / 빅뱅 vs 정상 우주론
자, 이번 수업에서는수소와 헬륨의 질량비가 왜 3:1이 되는지,그리고 빅뱅 우주론과 정상 우주론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1. 양성자와 중성자의 비율 변화우주 초기에 쿼크들이 결합해서양성자와 중성자가 만들어졌어. 이때는 두 입자 간의 전환 반응이 자유롭게 일어났기 때문에양성자:중성자 비율은 거의 1:1이었지.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우주의 온도가 점점 낮아지고,에너지가 부족해지자,중성자 → 양성자로 바뀌는 반응만 일어나게 되었어. 즉, 양성자의 수는 점점 늘고, 중성자의 수는 줄어든 거지.그래서 헬륨 원자핵이 형성되기 직전에는,양성자 : 중성자 = 7 : 1이 되었어.2. 수소-헬륨 질량비 계산 과정그 다음, 중성자 2개 + 양성자 2개가 만나→ 헬륨 원자핵 1개를 만들어. 그러면 남은 양성자들은 별다른 ..
2025.04.03 -
[통합과학] 빅뱅 우주론
자, 오늘은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라는 질문에 답을 해주는**빅뱅 우주론(Big Bang Theory)**에 대해 알아보자.1. 빅뱅 우주론이란?처음 우주는,상상할 수 없을 만큼 고온·고밀도의 에너지 상태였다고 해.그런데 이 상태가 **대폭발(Big Bang)**을 일으키면서엄청난 속도로 팽창하기 시작했어.그리고 지금도 계속해서 우주는 팽창 중이야.이게 바로 빅뱅 우주론의 핵심이지."우주는 한 점에서 시작해서 계속 팽창하고 있다."2. 입자의 탄생우주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천천히 낮아지자,먼저 기본 입자, 즉 쿼크와 전자가 만들어졌어.이 쿼크들이 결합해서→ 양성자와 중성자가 되고,양성자는 그대로 수소 원자핵이 되었어.그리고 양성자와 중성자가 만나→ 헬륨 원자핵이 만들어졌지.마지막으로,원자핵..
2025.04.01 -
[통합과학] 원자, 원자핵, 양성자, 중성자, 쿼크
자, 이번 수업은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 즉 우리가 알고 있는 세상의 가장 작은 구성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자.[1. 원자의 구조]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어.이 원자는 다시 두 가지 입자로 나뉘어:원자핵과 전자.전자는 (-) 전하를 띠고원자핵은 (+) 전하를 띤다고 했지.그럼 원자핵 안에는 뭐가 있을까?바로 양성자와 중성자가 있어!양성자는 +1의 전하중성자는 말 그대로 전기를 띠지 않는 입자, 즉 중성[2. 쿼크: 더 작은 세계로]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야.양성자와 중성자도 더 작은 입자로 쪼갤 수 있어.그게 바로 쿼크(quark)!양성자와 중성자는 각각 쿼크 3개로 이루어져 있어.양성자 = u쿼크 2개 + d쿼크 1개 → 전하량 +1중성자 = u쿼크 1개 + d쿼크 2개 → 전하량 ..
2025.03.28 -
[통합과학] 측정과 표준
자, 오늘은 **‘측정 표준과 정보’**에 대해 함께 알아보자!이 단원은 실생활하고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서, 개념만 제대로 잡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어.[1. 측정과 어림]먼저 측정이란적절한 단위와 도구를 이용해서길이, 질량, 부피 같은 양을 정확하게 재는 활동을 말해.예를 들어 자로 길이를 재거나, 저울로 무게를 재는 게 측정이지.그런데 측정 도구 없이, 눈대중으로 대략 짐작하는 경우도 있지?이걸 **‘어림’**이라고 해."이 상자의 길이가 한 30cm쯤 되겠네" 이런 식으로 말이야.어림은 정확한 수치를 알려주진 않지만,어떤 도구가 필요한지 결정할 때 도움이 돼.예를 들어, 어림으로 봤을 때 너무 작은 값이면 마이크로미터 같은 정밀한 도구가 필요하겠지?[2. 측정 표준이란?]측정 표준은 말 그대로,정..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