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과학] 측정과 표준

2025. 3. 26. 18:10[2022개정_통합과학]

반응형

 

 

 

자, 오늘은 **‘측정 표준과 정보’**에 대해 함께 알아보자!
이 단원은 실생활하고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서, 개념만 제대로 잡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어.


[1. 측정과 어림]

먼저 측정이란
적절한 단위도구를 이용해서
길이, 질량, 부피 같은 양을 정확하게 재는 활동을 말해.

예를 들어 자로 길이를 재거나, 저울로 무게를 재는 게 측정이지.

그런데 측정 도구 없이, 눈대중으로 대략 짐작하는 경우도 있지?
이걸 **‘어림’**이라고 해.

"이 상자의 길이가 한 30cm쯤 되겠네" 이런 식으로 말이야.

어림은 정확한 수치를 알려주진 않지만,
어떤 도구가 필요한지 결정할 때 도움이 돼.
예를 들어, 어림으로 봤을 때 너무 작은 값이면 마이크로미터 같은 정밀한 도구가 필요하겠지?


[2. 측정 표준이란?]

측정 표준은 말 그대로,
정확하고 일관된 측정을 위한 과학적 기준이야.

전 세계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단위계(SI 단위)나,
시간을 재는 기준이 되는 원자시계 같은 게 대표적인 예지.

표준이 없으면, 사람마다 다르게 측정해서 비교 자체가 안 되겠지?


[3. 신호와 정보의 개념]

자연에서는 다양한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런 변화를 **‘신호’**라고 불러.

예를 들면,

  • 빛의 밝기 변화
  • 온도 변화
  • 소리의 진동
    이런 게 다 신호야.

그럼 ‘정보’는 뭐냐?
바로 이런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해서 유용하게 바꾼 것을 말해.

예를 들어,
"소리의 세기를 감지해서 음성으로 바꿔주는 기술"도
신호 → 정보의 대표적인 예지.


[4. 센서의 역할]

여기서 센서라는 장치가 중요한 역할을 해.
센서는 자연에서 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서,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장치야.

예를 들어,

  • 광 센서는 빛을 감지하고,
  • 가속도 센서는 움직임이나 진동을 감지해.
  • 화학 센서는 특정 물질을,
  • 압력 센서는 눌리는 힘을,
  • 전자기 센서는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지.

우리가 스마트폰을 뒤집으면 자동으로 화면이 회전하는 것도,
가속도 센서 덕분이야!


[5. 아날로그 vs 디지털 신호]

신호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1. 아날로그 신호
    : 연속적으로 변하는 신호
    → 자연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신호가 이거야.
    예: 온도 변화, 소리, 빛의 밝기 등

장점은 자연 그대로의 신호를 정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
단점은?
전송하거나 저장할 때 손상되기 쉽다는 거야.

  1. 디지털 신호
    : 0과 1로 구성된 불연속적인 신호.
    →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사용하는 방식이지.

장점은 손실 없이 깔끔하게 저장·전송할 수 있다는 것!
그래서 우리가 쓰는 디지털 기기들은 대부분 디지털 신호 기반이야.


 

정리해보면,
측정은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한 시작점이고
센서와 신호의 개념은 우리가 정보를 다루는 방식의 핵심이야.

 

*** 측정 표준과 정보 영상 보기

 

 

*** 측정 표준과 정보 백지 테스트

 

016_002_측정표준과_정보_백지테스트.pdf

 

drive.googl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