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19. 15:29ㆍ[중등2] 7단원 : 수권과 해수의 순환
자. 이번 수업은 해류와 조석현상에 대해 알아보자.
해류는 일정한 방향으로 나타나는 해수의 흐름을 말하며
지속적으로 부는 바람에 의해 나타난다.
해류는 난류와 한류로 구분하는 데
난류는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흐르는 비교적 따뜻한 해수를 말하고
한류는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흐르는 비교적 차가운 해수를 말한다.
난류는 염분이 높고 산소와 영양 염류는 적게 녹아있으며
한류는 염분은 낮지만 산소와 영양 염류가 많이 녹아 있다.
우리 나라 주변에 흐르는 해류 중
가장 규모가 큰 해류는
북태평양 서쪽 해역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쿠로시오 해류이며
쿠로시오 해류는
우리 나라 주변에 흐르는 난류의 근원이다.
쿠로시오 해류의 일부가 동해쪽으로 흐르는 것을 동한 난류
황해쪽으로 흐르는 것은 황해난류라고 하며
북한 한류는 연해주 한류의 일부가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는 것을 말한다.
동한 난류와 북한 한류가 만나는 곳을
조경 수역이라고 하는 데
이곳은 영양 염류와 플랑크톤이 풍부하고
한류성 어종과 난류성 어종이 모두 분포하므로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조경 수역의 위치는 계절에 따라 조금씩 변하는데
여름에는 위쪽으로 북상하고
겨울에는 아래쪽으로 남하한다.
조석은 밀물과 썰물에 의해 해수면의 높이가
주기적으로 높아지고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조석에 의해 해수면의 높이가 가장 높을 때를 만조
해수면의 높이가 가장 낮을 때는 간조라고 하며
만조와 간조 때의 해수면 높이 차이를 조차라고 한다.
간조에서 만조가 될 때
육지 쪽으로 해수가 밀려 들어오는 것을 밀물이라고 하고
반대로 만조에서 간조로 변할 때
바다쪽으로 해수가 쓸려나가는 것을 썰물이라고 한다.
밀물과 썰물처럼 조석에 의해 나타나는 주기적인 해수의 흐름을
조류라고 한다.
시간에 따른 해수면 높이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에서
높이가 가장 높은 지점이 만조
가장 낮은 지점은 간조이며
만조에서 간조로 변하는 지점에서는 썰물
간조에서 만조로 변하는 부분에서는 밀물이 나타난다.
만조에서 만조 혹은 간조에서 간조까지 걸리는 시간을
조석 주기라고 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조석 주기는 약 12시간 25분이다.
사리는 한 달 중 만조와 간조의 차이가 가장 큰 시기를 말하고
조금은 한 달 중 조차가 가장 작게 나타나는 시기를 의미한다.
탑사이언스 과학학원(대구 수성구)
'[중등2] 7단원 : 수권과 해수의 순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등2과학]염류와 염분(염분비일정 법칙) (0) | 2021.11.18 |
---|---|
[중등2과학] 해수의 온도 (0) | 2021.11.18 |
[중등2과학] 수권과 수자원 (0) | 2021.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