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과학] 과학의 기본량

2025. 3. 25. 13:29[2022개정_통합과학]

반응형

 

자, 오늘은 과학의 기초 중에서도 정말 중요한!
**‘과학의 기본량’**에 대해 알아볼 거야.
이걸 제대로 알고 가면 앞으로 나오는 수식들이 훨씬 쉽고 자연스럽게 느껴질 거야.


[1. 미시 세계 vs 거시 세계]

먼저, 우리가 다루는 자연 세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

하나는 미시 세계,
예를 들어 원자, 분자처럼 아주 작고 눈에 안 보이는 세계지.

그리고 다른 하나는 거시 세계,
우리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지구, 별, 운동하는 자동차 같은 큰 세계야.

이런 미시와 거시 세계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 바로 **‘규모’**야.
즉, 자연 현상의 크기 범위를 말하는 거지.


[2. 기본량이란?]

이제 본격적으로 기본량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자연 현상을 설명하려면 몇 가지 기본적인 양이 필요해.
우리는 이걸 **‘기본량’**이라고 부르고, 총 7가지가 있어.

이 7개의 기본량은 국제 단위계, SI에 따라
각각의 기본 단위도 함께 정해져 있어.

하나씩 짚어보면,

  • 시간 → 초 (s)
  • 길이 → 미터 (m)
  • 질량 → 킬로그램 (kg)
  • 전류 → 암페어 (A)
  • 온도 → 켈빈 (K)
  • 광도 → 칸델라 (cd)
  • 물질의 양 → 몰 (mol)

이 7가지가 다른 물리량으로 표현되지 않는, 말 그대로 ‘기본’이 되는 양들이야.


[3. 유도량이란?]

자, 그런데 우리가 과학을 공부하다 보면
속력, 힘, 밀도 같은 양들도 자주 보이지?

이런 것들은 기본량을 조합해서 만들어진 **‘유도량’**이라고 해.

예를 들어,

  • 속력 → m/s
  • 가속도 → m/s²
  • → kg·m/s² 
  • 밀도 → kg/m³

이처럼 유도량의 단위기본 단위들을 곱하거나 나눠서 만들어져.


 

자, 이렇게 오늘은 기본량과 유도량에 대해 알아봤어.

이 개념은 과학의 시작점이자,
앞으로 나올 모든 공식과 단위의 뿌리가 되는 내용이니까
꼭 기억해두자!

 

관련 영상 https://youtu.be/cB5kaUAKITM

 

*** 과학 기본량 백지 테스트 시험지

 

016_001.pdf

 

drive.googl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