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2과학] 해수의 온도

2021. 11. 18. 15:04[중등2] 7단원 : 수권과 해수의 순환

반응형

자. 이번 수업은 해수의 온도에 대해 알아보자.

 

해수의 겉부분에 해당하는 표층의 온도는

 

태양 에너지에 영향으로

 

위도나 계절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태양 에너지가 적게 도달하므로

 

표층 수온은 낮아지고

 

같은 위도에서 수온은 비슷하게 나타난다.

 

 

또한 태양에너지가 많이 들어오는 여름철이

 

겨울철보다 표층수온이 높게 나타난다.




해수의 연직 수온 분포는

 

태양에너지와 바람의 영향을 받으며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를 기준으로

 

혼합층, 수온약층, 심해층으로 구분한다.

 



혼합층은 대부분의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므로 수온이 높고

 

바람에 의한 혼합작용으로 수온이 일정한 층을 말하며

 

바람이 강하게 불수록 혼합층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수온 약층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수온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층을 말하며

 

대류가 일어나지 않아 매우 안정하여

 

혼합층과 수온약층 사이의 에너지나 물질교환을 차단한다.



심해층은 태양에너지가 거의 도달하지 않아 수온이 매우 낮고 일정한 층을 말하며

 

위도나 계절에 관계 없이 수온이 거의 일정하다.




이런 해수의 층상구조는

 

위도별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저위도 지역은

 

표층수온이 매우 높아

 

심해층과의 수온차이가 크게 나타나므로

 

수온약층이 발달하고

 

바람이 약하게 불기 때문에

 

혼합층은 매우 얇게 나타난다.



중위도 지역은

 

강한 바람에 의해

 

혼합층이 발달하고

 

층상구조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며

 

고위도 지역은

 

표층 수온이 매우 낮고

 

층상구조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https://youtu.be/y7nrvrF6mU8



 

 

탑사이언스 과학학원(대구 수성구)

www.topsa.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