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3과학] 사람의 유전 연구와 쌍둥이(일란성, 이란성)

2021. 11. 4. 18:52[중등3] 5단원 : 생식과 유전

반응형

자. 이번 수업은 사람의 유전 연구에 대해 알아보자

 

멘델은 완두를 이용한 실험으로

 

유전 원리를 밝혀냈지만

 

사람의 유전을 연구하는 것은 완두의 유전 연구보다 훨씬 어렵다.

 

그 이유는

 

사람의 경우 한 세대가 길고 자손의 수가 매우 적으며

 

자유로운 교배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형질도 복잡하며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사람의 유전을 연구하는 방법은

 

가계도 조사, 통계조사, 쌍둥이 연구, 염색체나 DNA 분석을 이용한다.

 

특히 쌍둥이 연구는 특정 형질이 유전과 환경 중 

 

어떤 것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지 알아낼 때 쓰인다.



가계도는 특정 형질에 관한 가족 구성원의 정보를

 

일정한 방식에 따라 도표로 그려 정리한 것이다.

 

 

남자는 네모

 

여자는 동그라미로 표시하고

 

남자와 여자를 가로선으로 연결하여 결혼한 부부 관계를

 

가로선의 중심에서 아래로 선을 그어 다음 세대의 자손을 나타낸다.

 

가계도에서 특정 형질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는

 

색깔이나 무늬를 다르게 표시하여 나타낸다.



다음은 쌍둥이의 발생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쌍둥이는 1란성과 2란성 쌍둥이로 나눠지는데

 

 

1란성 쌍둥이는

 

난자 1개가 정자 1개와 만나 하나의 수정란을 만들고

 

발생 초기 둘로 나뉘어져

 

각각 완전한 개체로 발생한 경우이다.

 

따라서 1란성 쌍둥이는

 

서로 유전자 구성이 동일하므로 항상 같은 성별을 가지며

 

만약 1란성 쌍둥이 간에 형질 차이가 나타난다면

 

그것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2란성 쌍둥이는

 

두 개의 난자가 서로 다른 정자와 수정하여 만들어진

 

2개의 수정란이

 

각각 완전한 개체로 발생한 경우이다.

 

따라서 2란성 쌍둥이는

 

유전자 구성이 서로 다르고

 

성별은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2란성 쌍둥이간에 형질차이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합쳐져서 나타난다.



https://youtu.be/5qIQBdUDPEk

 

탑사이언스 과학학원(대구 수성구)

www.topsa.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