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개정_통합과학]
[통합과학] 알칼리 금속과 할로젠 원소
topsa
2025. 4. 20. 16:00
반응형
자, 오늘은 알칼리 금속과 할로젠 원소,
즉 1족과 17족 원소들에 대해 같이 정리해보자.
이 두 족은
화학 반응성이 엄청 큰 대표적인 족들이라
시험에도 자주 나오고
실험에서도 진짜 재밌는 애들이야.
먼저, 알칼리 금속부터 보자!
알칼리 금속은 1족 원소 중에서 수소를 뺀 나머지 금속들이야.
예를 들면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이런 애들.
이 친구들의 특징은 이래:
- 전자가 1개밖에 없어서 주기율표에서 가장 반응성이 큰 금속 중 하나야.
- 원자 번호가 클수록 반응성이 더 세지고,
- 실온에서는 은백색 광택이 나는 고체야.
- 근데 되게 무르고, 다른 금속보다 밀도도 작아.
반응성은 얼마나 크냐면?
- 물이랑 만나면 바로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고,
- 남는 수용액은 염기성, 즉 알칼리성이 돼.
- 공기 중에 두면 산소랑 반응해서 금방 광택이 사라져.
- 그래서 이런 애들은 석유나 액체 파라핀 안에 넣어서 보관해.
이번엔 할로젠 원소!
할로젠 원소는 17족 비금속 원소들이야.
대표적인 애들:
플루오린(F), 염소(Cl), 브로민(Br), 아이오딘(I)
✔ 이 친구들의 특징은:
- 전자 7개 가지고 있어서
1개만 더 있으면 껍질이 꽉 차는 상태
→ 그래서 반응성이 진짜 강해. - 대부분 이원자 분자 상태로 존재해. (예: Cl₂, F₂)
상온 상태는 어떻게 다를까?
플루오린 | 기체 | 옅은 노란색 (안 보일 정도) |
염소 | 기체 | 황록색 |
브로민 | 액체 | 적갈색 |
아이오딘 | 고체 | 흑자색 (보라색 기체로 승화됨) |
→ 원자 번호가 커질수록 상태가 기체 → 액체 → 고체로 바뀌지!
반응성은?
- 원자 번호가 작을수록 반응성이 크고,
- 금속이나 수소랑 잘 반응해.
- **수소랑 반응하면 → 할로젠화 수소(HCl, HF 등)가 생기고
→ 이걸 물에 녹이면 산성을 띠게 돼.
알칼리 금속 vs 할로젠 원소 한눈에 정리!
구분 | 알칼리 금속 | 할로젠 원소 |
원소 종류 | 리튬, 나트륨 등 | 염소, 브로민 등 |
전자 수 | 1개 (잃기 쉬움) | 7개 (1개 얻기 쉬움) |
상태 | 고체, 은백색 | 기체~고체, 색 다양 |
반응성 | 원자번호 ↑ → 반응성 ↑ | 원자번호 ↓ → 반응성 ↑ |
대표 반응 | 물과 반응해 수소 발생 + 염기성 | 수소와 반응해 산성 물질 생성 |
보관법 | 석유나 파라핀 속에 | 실온 보관 가능, 하지만 주의 필요 |
이 두 족의 공통점은
둘 다 엄청 반응성이 크고,
화학적으로 이온이 되기 쉬운 애들이라는 거야.
→ 알칼리 금속은 전자 잃어서 양이온,
→ 할로젠 원소는 전자 얻어서 음이온
그래서 둘이 만나면 이온 결합해서
염(소금류) 같은 물질이 되는 거야.
→ 예: 2Na + Cl₂ → 2NaCl (소금)
✅ 정리 한 줄 요약
- 알칼리 금속은 1족 금속, 반응성 짱, 물에 넣으면 폭발급 반응
- 할로젠 원소는 17족 비금속, 전자 1개만 더 있으면 완성, 반응성도 짱
- 둘 다 이온 잘 되고, 서로 만나면 딱 붙는다
[통합과학] 알칼리 금속 / 할로젠 원소 백지 테스트
016_012_알칼리_할로젠_백지테스트.pdf
drive.googl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