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3]7단원 : 별과 우주

[중등3과학] 우리 은하(성단, 성운)

topsa 2021. 11. 18. 15:43
반응형

자. 이번 수업은 우리 은하에 대해 알아보자.

 

은하는 수많은 별이 모인 거대한 집단을 말하며

 

그 중 우리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를 우리 은하라고 한다.

 

우리 은하를 옆에서 보면

 

 

중심부가 볼록한 원반 모양으로 보이며

 

은하 한 가운데를 은하 중심

 

옆으로 뻗어나온 부분을 나선팔이라고 하며

 

은하 주변의 둥그런 공간을 헤일로라고 한다.

 

은하의 지름은 약 30kpc, 10만 광년이고

 

태양계는 은하 중심에서 약 8.5kpc, 3만광년 떨어진 나선팔에 위치한다.



우리 은하를 위에서 보면

 

중심부에 막대모양의 구조가 있고

 

막대의 끝에서 나선팔이 뻗어나와 있는 형태이다.

 



은하수는 지구에서 바라본 우리 은하의 모습으로

 

희뿌연 띠 모양으로 관측된다.

 

궁수자리 쪽이 가장 넓고 뚜렷하게 보이며

 

여름철에 폭이 두껍고 밝게 보이지만

 

겨울철에는 희미하게 보인다.




우리 은하는 약 2000억개의 별, 성간물질, 성단, 성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성단은 별들이 모여있는 집단을 말한다.

 

성단을 구성하는 별들은 거의 같은 시기 같은 공간에서 생성되었으므로

 

나이가 거의 비슷하다는 특징이 있다.

 

성단은 별이 모여있는 모습에 따라 산개 성단과 구상성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산개 성단은 별들이 일정한 모양 없이 듬성듬성 모여있으며

 

대부분 온도가 높은 파란색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우리 은하의 나선팔 부근에 분포하고 있다.

 

구상 성단은 별들이 공모양으로 빽빽하게 모여있으며

 

대부분 온도가 낮은 빨간색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 은하의 중심부와 헤일로에 분포한다.




성운은 성간물질이 모여 구름처럼 보이는 천체를 말하며

 

형성 원리에 따라 방출 성운, 반사 성운, 암흑 성운으로 구분된다.

 

 

방출 성운은 

 

성운이 별에 의해 가열되어

 

스스로 빛을 내는 성운으로

 

주로 빨간색으로 보이며

 

반사 성운은

 

주변의 별빛을 반사하여 밝게 보이는 성운으로

 

주로 파란색으로 보인다.

 

암흑 성운은

 

두꺼운 성간 물질이 뒤쪽에서 오는 별빛을 가로막아

 

어둡게 보이는 성운이다.




우리 은하 이외에도

 

우주에는 수많은 은하들이 존재하며

 

우리 은하 밖의 은하들을 외부은하라고 한다.



외부 은하는 모양을 기준으로

 

동그란 모양의 타원은하

 

나선팔이 뻗어 나온 나선은하

 

특별한 모양이 없는 불규칙 은하로 구분하며

 

나선은하는

 

중심부에서 나선팔이 휘어져 나온 정상 나선 은하와

 

막대 모양의 구조 끝에서 나선팔이 휘어져 나오는

 

막대 나선은하로 나눠진다. 

 

우리 은하는 나선 은하 중 막대 나선은하에 속한다.





https://youtu.be/2I9CEOCx0Dc

 

탑사이언스 과학학원(대구 수성구)

www.topsa.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