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3] 5단원 : 생식과 유전

[중등3과학] 상염색체 유전 가계도 분석

topsa 2021. 11. 4. 19:09
반응형

자. 이번 수업은 상염색체 유전의 가계도를 분석해 보자.

 

가계도를 분석할 때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부모에 없던 형질이 자식에게 등장하는 경우를 찾는 것이다.

 

이 경우

 

자식에게 나타난 표현형은 열성이며

 

부모의 유전자형은 모두 잡종이고

 

자식의 유전자형은 열성 순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자. 그럼 다음과 같은 간단한 가계도를 분석해보자.

 

 

먼저

 

혀말기가 가능한 1번과 2번 부부 사이에서

 

혀말기가 불가능한 6번 딸이 등장했으므로

 

혀말기가 불가능한 형질이 열성이고

 

1번, 2번 부모의 유전자형은 모두

 

대문자 T 소문자 t이며

 

6번 딸의 유전자형은

 

소문자 t 소문자 t이다.

 

혀말기가 불가능한 3번, 8번의 유전자형 역시

 

소문자 t 소문자 t이고

 

혀말기가 불가능한 3번 엄마의 9번 딸은 

 

최소 한 개의 소문자 t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9번 딸의 유전자형은 대문자 T 소문자 t이다.

 

혀말기가 불가능한 6번 엄마의 10번 아들 역시 

 

같은 이유로 유전자형은 대문자 T 소문자 t이다.

 

또 혀말기가 불가능한 8번 아들을 둔 4번 아빠는

 

아들에게 소문자 t를 물려주기 위해

 

최소 한개의 소문자 t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4번 아빠의 유전자형은 대문자 T 소문자 t이다.



하지만

 

1번과 2번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 5번 딸은

 

대문자 T 대문자 T 혹은

 

대문자 T 소문자 t 를 모두 유전자형으로 가질 수 있으므로

 

주어진 조건만으로 유전자형을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유전자형이 잡종인 10번 아들을 둔 7번 아빠는

 

대문자 T 대문자 T 를 가지거나

 

대문자 T 소문자 t 를 유전자형으로 가지는

 

두 경우 모두 10번 아들에게

 

대문자 T를 물려줄 수 있으므로

 

주어진 조건만으로는 유전자형을 알 수 없다.





다음은 ABO식 혈액형에 대한 가계도를 분석해 보자.

 

두 집안의 가계도가 다음과 같을 때

 

 

A형인 엄마와 결혼하여 B형과 O형의 자식을 둔

 

1번 아빠는

 

B와 O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1번 아빠의 유전자형은 BO이고

 

표현형은 B형이다.

 

2번 엄마의 경우 유전자형이 AA라면

 

B형이나 O형인 자식이 태어날 수 없다.

 

따라서 2번 엄마의 유전자형은 AO이며

 

엄마에게서 B 유전자를 받을 수 없는

 

5번 아들의 유전자형은 BO이다.

 

3번 아빠의 경우

 

O형인 엄마와 결혼하여

 

A형과 B형의 자식이 태어났으므로

 

A와 B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3번 아빠의 혈액형은 AB형이며

 

O형인 엄마에게서 무조건 한개의 O 유전자를 물려받는

 

7번 딸과 8번 아들의 유전자형은 각각 AO, BO이다.



만약 6번 남자와 7번 여자가 결혼을 한다면

 

유전자형인 AO인 A형이나

 

유전자형인 OO인 O형 자손만 태어날 수 있으며

 

B형과 AB형인 자손은 태어날 수 없다.

 

 

https://youtu.be/-ZeWFP_ECOs

 

 

탑사이언스 과학학원(대구 수성구)

www.topsa.co.kr

반응형